백업과 복구 dump,dd
서비스 중인 시스템이 미쳐 백업하기 전에 날아가서 며칠동안 찾아보고 테스트해본 내용입니다. 1. dd dd는 리눅스 설치시 배포본에 포함되어 있더군요. dd 명령 하나로 백업과 복구를 수행합니다. df -Th 해보면 파티션에 대한 로지컬하게 나뉘어진 파티션이 보입니다. # df -Th Filesystem Type Size Used Avail Use% Mounted on /dev/mapper/vg_hwaseongcity-lv_root ext4 50G 3.0G 44G 7% / tmpfs tmpfs 1012M 0 1012M 0% /dev/shm /dev/cciss/c0d0p1 ext4 485M 58M 403M 13% /boot /dev/mapper/vg_hwaseongcity-lv_home ext4 81G 33G 44G 43% /home 위 파티션에 대해 백업 명령은 아래와 같습니다. dd if=/dev/mapper/vg_hwaseongcity-lv_root of=lv_root_20120120-01.dd if에는 백업할 파티션을 적어주고, of는 백업한 결과물 (여기에서는 lv_root_20120120-01.dd 라는 파일을 만들었습니다.) 입니다. 반대로 dd로 백업한 것을 풀어주려면 파티션을 동일하게 생성한 뒤에 if와 of를 반대로 적어주면 됩니다. 백업할 때 환경정보 (파티션 정보 포함)를 같이 백업해 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. 2. dump dump는 리눅스에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패키지를 설치해야 합니다. 저는 centos 6.x 라서 "yum install dump*" 해서 설치했군요. dump와 restore가 깔리면 dump는 파티션 내에서 특정 디렉토리를 dump할 수 있습니다. restore하려면 해당 디렉토리를 만들고 그 안에서 복구하시면 됩니다.
dump -0f(옵션 사용) /백업공간/백업될 파명.dump /백업할파일(원본루트)이나 디렉토리 dump -0f /backup/boot.dump /boot 복구는 restore 옵션을 찾아보시면 되는데
저는 강제복구 옵션인 rf를 사용해서 수행했습니다. restore -rf /backup/boot.dump /boot "restore -if /백업공간/백업될파일명.dump" 와 같이 하면 대화식으로 백업을 할 수 있는데 /boot 디렉토리를 다시 복구 하려면 add /boot 란 명령어를 수행하고, 진행할 수 있습니다. 끝낼 때는 quit로 빠져나오면 됩니다. |